
부자와 돈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은 것 같다. 부에 대한 편견은 드라마, 영화, 음악, 뉴스 등으로부터 배우게 된다. 다양한 매체에서 돈이 악의 근원인 것처럼 묘사를 하지만 아이러니하게 모두가 부자가 되길 원한다. 가난한 사람과 부자의 가장 근본적인 차이는 돈을 대하는 태도이다. 돈을 대하는 올바른 태도와 생각을 가지면 부자가 되는 것이 어렵지만은 않을 것이다. 하락장을 대처하는 생각 지금은 성패가 갈리는 시기이다. 모든 자산 가치가 하락하고 있는 현재 상황을 어떻게 대하느냐가 나중에 수익률에서 큰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 부자들의 생각은 부자가 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일들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틀린 생각을 했다면 생각과 행동을 고치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긴다. 반면 가난한 사람..

모든 성공한 사람들이 갖추고 있는 특성, 체득하고 있는 습관인 '10배의 법칙'에 관한 글이다. 10배의 법칙은 '다른 사람이 하는 것보다 10배 더 많은 생각과 행동을 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원대한 수준으로 생각한 다음 엄청난 수준으로 행동하는 것이다. 10배의 법칙에서 학력, 재능. 인맥, 성격, 운, 돈, 기술, 커리어, 지위 등은 중요하지 않다. 또한 10배의 법칙은 부자가 되는데 도움이 되는 것뿐만 아니라 건강, 가정, 신체, 정서, 공동체 등 모든 영역에서 자신의 삶을 성공과 행복으로 이끄는 훌륭한 무기가 될 것이다. 10배 더 생각하고 행동해야 하는 이유 충분히 행동하고 사고해본 적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명확히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소수일 것이다. 10배의 법칙을 이해하기 위해서..

하루를 정말 열심히 살아가지만 잘하고 있는지 확신이 없을 때가 있다. 그리고 이 길이 나의 행복을 향한 것인지 확신이 없을 때가 있다. 하지만 지금보다 더 적은 시간을 일하고 성과와 행복을 성취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 소개한다. 정말로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판단하고 그 중요한 일을 우선적으로 하는 것이 핵심이다. 효율적이지 않은 업무시간 한국에서 회사에서 일을 하면 보통 8시간이라는 근무시간을 표준으로 정하고 있다. 하지만 8시간 동안 중요하지 않은 일이나 시간을 채우기 위한 일을 꽤 많이 하고 있다는 것을 우리 스스로 알고 있을 것이다. 사업을 하는 경우도 직장인들보다 훨씬 더 많은 시간을 쉬지 않고 일하지만 심리적으로 불안하고 불행하다는 감정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우리는 일하는 시간..

우리가 살아가면서 부자가 되는 방법에 대해서 책, 강의 그리고 좋은 글들이 넘쳐난다. 하지만 가난해지는 행동, 습관들을 지적하는 사람은 찾아보기 힘들다. 우리는 가난해지는 방향으로만 향하지 않아도 부자의 길에 가까워질 수 있다. 우리가 평소 무심코 하는 행동들이 우리 스스로를 가난하게 만들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보자. 가난할 수밖에 없는 사람들의 특징 돈을 많이 벌면서도 가난한 가정들의 몇 가지 공통적인 특징이 있다. 술, 도박, 과소비로 빚을 지고 있고 그 빚 때문에 다른 가족 구성원들이 힘들어한다. 쉽게 큰돈을 벌 기회만 찾아다닌다. 일정한 수준의 일당 이하면 아예 일을 하지 않으려 한다. 가족들 모두 돈을 벌지만 일관성 있게 관리가 안된다. 자녀들이 공부를 잘하지 않는데 대학교에 보내기 위해 억지로..

유럽의 워런 버핏이라고 할 수 있는 앙드레 코스톨라니가 말하는 부자가 될 수 있는 전략을 소개한다. 아주 기본적인 이론들이지만 쉽게 잊어버리고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된다. 어른이 되면 돈과 투자에 대하여 전문가가 된다고 생각하지만 큰 착각일 수 있다. 일반적인 사람이 자본주의에서 승리할 수 있는 4가지 전략을 차례대로 살펴보자. 돈의 진정한 의미 돈이라는 것의 의미는 외부환경에 어떠한 변화가 있더라도 내 자산을 빼앗기지 않기 위한 도구라고 할 수 있다. 부동산 투자를 2015년부터 시작해서 2018년 정도까지 시기가 좋아 부동산 가격이 꽤 많이 올랐었다. 당시에는 부자가 된 줄 알았지만 2018년에 임대료가 낮아지면서 내가 가지고 있던 현금과 대출을 더 받을 수밖에 없었던 상황이 되었다. 부자들처럼..

전 세계적으로 인구감소는 명백한 트렌드가 되어가고 있다. 인구수가 국가경쟁력과 연관이 되는 신흥국의 경우도 인구 감소는 피해 갈 수 없다. 이 글에서는 인구수와 부동산 투자의 연관성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보통 인구수가 줄어들면 부동산은 수요가 감소하기 때문에 가격이 떨어질 것이라 생각하는데 반드시 그렇지 않다. 인구가 감소 부동산 가격 상관관계 유럽의 경우 고령화가 많이 진행되었지만 경제 상황은 생각보다 잘 버티고 있다. 인구가 감소했지만 경제상황과 부동산 가격은 상승을 했다. 하지만 한국사람들이 많이 이야기하는 일본의 경우 인구감소와 함께 경제와 부동산 가격이 무너지기 시작했다. 여기서 중요한 요소는 각 나라면 자산시장의 버블이 있는지 여부가 더욱 중요하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인구수로만 판단을 해..